Culture 984

대한민국에서 남자들 사이에 가장 어려운 일

대한민국에서 이처럼 힘들일은 없어 보인다. 학교 다닐때는 모르지만 학교를 졸업하고 사회로 나오자 이 문제는 가장 민망하게 직장생활을 가장 어렵게 만들고 심지어는 주먹 다지을 하게도 한다. 그것은 다름 아닌 '빠른'이다. 모씨 대통령이 만나이를 대한민국에 뿌리를 내릴려고 하지만 이 '빠른'의 갈등은 대한민국 사회 뿌리깊이 박혀 있다. 서열을 정리하는 방법중에 가장 보편적이고 가장 대중적인 방법은 아마도 '나이'다. 나이는 아마도 유교가 뿌리 깊히 박혀 있던 문화에서 '경험'과 '삶의 통찰력'을 중시했던 고대의 가장 보편적인 분류 방법으로 몇 천년을 내려왔다. 전쟁이 많았던 나라 치고는 강자가 모든 것을 쟁취했던 것과는 달리 우리의 전쟁은 성격으로 분류해 보면 전쟁에 능동적인 형태가 아닌 수동적 형태 즉 침..

Culture 2023.08.15

스타벅스

스타벅스가 뭐길래 대한민국에서 2조 5천억 원의 매출을 가져갈 수 있단 말인가? 왜 이렇게 우리는 커피를 많이 마시는가? 커피를 2조 5천억 원인데 1조 매출에 영업이익이 852억 원이라면 8%를 상회했는데 2조 5천억 원 매출에 1224억이면 4.7% 수익성이 많이 악화는 돼었네! 2배 가까이 이익이 줄어든 것이네! 소주매출액은 22년 1조 5847억원 참이슬, 카스, 진로, 하이트, 테라, 켈리를 1년 동안 먹은 것이 2016년 매출액과 동일하다고 비슷하네! 술보다 커피를 파는 것이 얼마나 럭셔리 하나 단위당 소주를 팔면서 감당해야 하는 수많은 번거로움 불편함을 생각하면 스타벅스에서 마시는 커피 한잔의 생산성은 재주는 곰이 부리고 돈은 다 스타벅스가 챙기나! 혹 술소비가 많은 만큼 스타벅스 매출액도 ..

Culture 2023.08.14

낙엽

니가 좋든 말든 계절은 간다. 이 무시무시 했던 여름이 지나가고 있다. 여름의 옛말은 15세기 문헌에 18세기 반 모음 '열매' '열개'라는 두가지로 예측한다. 열매와 열다. 결국 열매를 여는 이런 뜻으로 볼 수 있는데 색깔이 변하고 있다. 조만간 노랗게 변해갈 것이다. 사실은 추락의 계절로 자유 낙하 할 것이다. 그렇게 파랗게 질려 열매를 맺고 열매도 떨어지고 낙엽도 떨어지게 될 것이다. 다 떨어진다. 모두 다 그리고 또다시 새롭게 내년에는 또 파릇파릇 올라 오게 될 것이다. 서대문 어느 아파트의 한구석에 낙엽이 떨어지고 송파구에 떨어졌던 낙엽과 고덕에 떨어졌던 낙엽과 다 다른데 난 같다고 인식할 뿐이다. 작년의 가을과 올 가을이 뭐가 틀린지 들여다 보자!

Culture 2023.08.14

폭탄주

뭐든 영화적 상상력에 대해서 옳고 그른 도덕성의 도마에 올리는 것은 아마도 그리 유쾌한 일은 아닐 듯하다. 아마도 맥락을 빼버리고 어떤 장면에 대해서 시시비비는 얼마나 무익하고 편협한 것일지 모른다. 아마도 이런 논쟁이 왜 시작됐는지 발단을 보면 아마도 공중파 tv의 프로그램에서 이러한 장면이 거론되었기 때문이다. 아마도 눈살이 찌푸려질 수도 있고 여러 가지 불쾌한 생각이 들었을 수도 있다. 우리는 왜 이렇게 불편한 민족이 되었을까? 아마도 그냥 문화적 수용성이 적어서일까? 아니면 너무 바른 민족이어서 그럴까?라는 생각이 든다. 왜 불편할까? 왜? 부모로서 살아가는 모습 , 삶의 치열한 모습과 욕망과 그 어두운 단면들이 주마등처럼 겹쳐져서 그러는 것인가? 아니면 내 자식이 나를 그렇게 생각할까 봐 두려워..

Culture 2023.08.07

인생에서 가장 행복한 순간

GPT에게 물어 보았는데 인생에서 가장 행복한 순간은 매우 주관적이며 개인의 경험, 가치 및 상황에 따라 영향을 받기 때문에 사람마다 크게 다를 수 있습니다. 사람들이 종종 인생에서 가장 행복하다고 생각하는 순간의 몇 가지 일반적인 예는 다음과 같습니다. 아이의 탄생: 많은 사람들이 부모가 되어 아이의 탄생을 목격하면서 엄청난 기쁨과 성취감을 느낍니다. 개인적인 목표 달성: 원하는 교육 프로그램을 졸업하거나, 꿈의 직업을 얻거나, 도전적인 프로젝트를 완수하는 등 오랜 꿈을 이루는 것은 깊은 행복감을 가져다 줄 수 있습니다. 사랑에 빠지다: 낭만적인 파트너와 깊고 의미 있는 관계를 찾는 것은 강렬한 행복과 만족감을 가져다줄 수 있습니다. 결혼식 날: 결혼을 선택한 사람들에게 결혼식 날은 친구 및 가족과 함..

Culture 2023.08.05

Ditto

언어는 사고의 틀이라고 흔히 말한다. 언어는 사고를 대변하기 때문이다. 우리의 빠름은 종국에는 인류를 파국으로 몰아갈 수 있는 내부 요인의 요소라 말할 수 있다. 우리가 느끼는 속도감은 결국은 "빠른 것 더 빠른 것"을 추구하고 그 궁극적인 추구가 결국은 인간이 기본적으로 필요한 '숙고'에 대한 최소한의 여유가 없어지면서 스스로 파멸의 길로 향하고 말것이다. 인간의 언어에서 '줄이는 것' 모든 언어를 줄이고 감정도 언어도 긴것을 못 참어 한다. 이러한 회피는 언어에 대한 negative 성향을 가져오고 많은 부분들을 줄이게 하는 것이다. 우리의 mz문화라고 이야기 할때 사실은 mz라 범위를 한정하는 것 또한 거부해야 하는데 실은 이 한정 이 특별함을 즐기려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기호는 결국 많은 불필요..

Culture 2023.08.04

여의도 vs 개인투자가

아마도 나는 이 소리없는 전쟁을 지켜 보면서 많은 것을 깨닫게 해준다. 우리가 공중파라 말하는 거대 방송국 KBS, MBC, SBS와 케이블TV CJ E&M, 종편의 개국을 보면서 경쟁구도를 살펴본다. K,M,S 3사는 거대 방송국의 전통적인 플랫폼 프로그램을 제작하여 전국의 가정에 방송을 송출하기 위해 방송송출 송수신 장비를 막대한 자금을 투여해서 전국적인 Network를 만들어 근 30년 가까이 번영을 누려왔다. 거기에 비하면 증권회사는 각자의 업무영역을 지켜오면서 증권이라는 막연한 know-how의 비밀을 유지하면서 알지도 못 하는 여러방면의 비즈니스를 통해 다양한 수수료와 유통의 헤게모니를 지켜오면서 많은 이익을 취하여 왔던 것이다. 방송국이 모든 방송소프트의 모든 비즈니스를 장악하였고 서비스 보..

Culture 2023.08.02

ETA

ETA(Estimated Time Arrival) 도착전 ETD(Estimated Time of Departure, 출발예정시간) 시간의 대한 가치를 보면 하루 일년 우리가 대개 생각하는 시간이란 Long Term의 속성이 강하게 들어가 있다. 그런데 요즘은 시간이라는 속성으로 보면 sns와 digital의 영향으로 잛고 더 잛어진다. 우리가 생각하는 우리가 집중할 수 있는 시간은 10분과 그 10분전의 10분 그 10분후의 10분 30분으로 분류될 수 있을 것 같다. 결국 그 시간의 가장 tension이 돋는 10분이란 어마어마한 긴장미가 흐르게 되는 것이다. 시간이란 엄청 길어지고 불행한 연속이 될 수 있는 것이다. 만약 행복하지 않다면 말이다. 인류가 만들어 놓은 가장 위대한 발명품이 이제는 인류를..

Culture 2023.08.02

세상에서 가장 느린 엘리베이터

대한민국에서 가장 느린 엘리베이터는 신촌세브란스와 굴다리앞으로 연결된 고가의 엘리베이터일 것이다. 삶이 너무나 힘들고 너무나 외로운 사람들은 한번쯤 이 엘베를 탈것을 권유한다. 아마도 1층에서 2층으로 내려가는데 5.5m 움직이는데1분이 걸리니 아마도 엄청난 속도다. 아마 직접 타 본다면 더욱더 느리다는 생각이 들것이다. 빠름에 익숙한 사람들 내가 얼마나 속도에 중독돼 있는지를 이 엘베를 타면 깨달을 수 있다. 아마도 휠체어를 타시는 분이 기본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속도로 여겨진다. . 이 무시무시한 속도는 이 느림은 우리를 얼마나 불편하게 만드는 지 또는 우리는 느낄수 있는 것이다. 평상시와 나이가 들어가는 경우 어디가 불편해 질때 이 속도와 일상적인 속도사이의 차이를 느낄 수 있다. 욕이 나올 수도 ..

Culture 2023.07.31

천막차

나는 아마도 이차를 보면 슬퍼진다. 이유는 이 차안에는 조화나 화환이 담겨져 있고 우리는 이차를 상가에서 많이 보개 때문이다. 커다란 조화가 큰 플래임안에 들어가 있고 대개는 흰 국화를 두르고 있거나 검은 테두리를 두르고 다니기 때문이다. 이 운전하시는 분의 직업과 그의 직업을 욕하는 것이 아닌 나이가 들면서 이 차가 지나갈때는 이유없이 상념에 빠져들곤 하기 때문이다. 세상을 살으셨던 선배이시고 그 누군가의 형님, 누나, 아버지, 어머니이에게 배달 돼기 때문이다. 어찌 보면 삶의 마지막 배달물이 저 천막안에 들어가 있기 때문이고 아마도 운반하는 사람도 그 물건을 밖에 보이기 싫어서 불투명한 천막안에 그 물건을 감추고 배달하는 이유일 것이다. 미수신이라면 얼마나 좋을까? 허지만 저 차는 인생에 우울한 수신..

Culture 2023.07.31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