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2975

감정

감정은 우리가 과거속에서 살게 함으로써 현재의 행동에 영향을 미치고 미래의 성장을 가로 막는다. 감정은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 우리는 사건과 상황을 제어할 수는 없지만 자신의 마음을 관리하는 법을 배울 수는 없습니다. 살다보면 코로나, 트라우마, 죽음등을 겪게 되지요. 하지만 supernatural은 우리가 마음을 관리할 때 우리 자신에서 나옵니다. 마음이 평화롭거나 계속 성장하는 것이 위대함이지요. 한 인간으로 만족스럽다면 만족스런 마음이 생긴다면 그게 바로 위대함이라는 겁니다. 특히 충격적인거나 부정적인 뉴스에 접하게 될때 우리안의 감정을 관리하지 않으면 생각이 우리를 부정적으로 통제하게 되는 것이다. 당신이 생각하는 모든 것은 현실입니다. 믿어지지 않는다면 이걸 한번 생각해 보셔요. 뭔가 창피한 일..

Culture 2024.02.12

나의 정체성

나는 타인이 나의 정체성을 정의하게 내버려 두었다. 나는 그사람의 논리가 틀렸다고 입증하는데 시간을 바친것은 아닌지 생각해 보라. 나는 그저 다른 사람들이 틀렸다는 입증을 하기 위해 뭔가를 입증하기 위해 나의 시간과 나의 모든것을 소비한 것 같다. 간단히 말해 나는 나의 정체성을 누군가 이야기 할때 남에 대해 함부로 이야기 하는 것을 멈추어 달라! 라고 이야기 하지 못했던 것 같다. "지금 내가 있는 곳은 나의 가족과 내가 숨쉬는 소중한 장소이고, 더 중요한 것은 내가 가고 있는 방향에도 감사함을 느끼고 있다는 점입니다." 고로 나의 정체성은 계속 진화하고 있고 다양한 요소를 포함하여 나스스로 나 자신을 제한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내가 어디에서 왔는지, 누구인지, 목적이 무엇인지 알게 되면 나를 막..

Culture 2024.02.12

가치

"어릴 때 자신이 충분하지 않고 가치 없는 사람이라는 메시지를 받으면 평생 자신의 가치를 증명하기 위해 노력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그런 아이들이 자라서 스스로 충분한 존재임을 느끼기 위해 자신을 희생하면서까지 상대방에게 맞추려고 한다. 내면의 아이에게 다가가 처음부터 아이가 필요로 했던 것을 주는 것뿐이다. 누군가에 대한 원망이 당신의 미래를 좌우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당신은 스스로 일구어낼 가치가 있는 미래를 선택할 수 있다. 그런 미래를 향한 첫걸음이 바로 치유의 작업이다. 우리는 즉각적인 트라우에서 살아남기 위해 대응기제를 만든다. 하지만 그 일시적인 해결책이 건강에 좋지 않은 패턴으로 변할 수 있다. 어릴때 비상시에 활용했던 방어기제가 나이가 들어 건강하짐 못한 대응습관으로 변질 될 수 있..

Culture 2024.02.12

오늘은 영화를 2개 보았다.

오늘은 이 영화를 보았다. 이 영화에서 가정의 불화의 가장 큰 피해자는 다름아닌 자녀들이라는 그 명명백백하게 보여주는 영화라는 생각이 들었다. 난 이 영화를 보면서 영화가 얼마나 간결하고 명확하게 할 이야기를 하는지를 보게 되었다. 영화가 많은 기교와 예시가 없이 두텁고 간결하게 자기의 할 이야길 하는것 또한 얼마나 매력있는지를 알게 되었다. 갈등의 구조가 전통적인 남녀관계가 아닌 이젠 다중의 성과 시력을 상실한 아이와 맹인견, 주위의 사람들, 검찰, 경찰, 변호사 변호 시스템이 얼마나 선진적인지 우리의 변호사가 드라마에 나오는 주인공이라면 여기 검사, 변호사는 진짜 직업인 검사, 변호사를 보는 듯하다. 추락하는 것은 날개가 있지 않고 죽는다라는 사실을 접하게 되었다. 지킬것이 눈녹듯 사라진 장년기에 사..

Culture 2024.02.11

웡카

모두가 영화를 이야기 할때 아무렇지도 않게 잠깐동안의 수면을 주기도 하고 또한 감동을 주는 영화가 있다. 잠깐 졸려웠지만 이내 일어나 다시 영화를 보며 집중할 수 있었다. 우리가 대개 꿈이라는 것을 이야기할때 동양에 SF는 특히 홍콩이나 중국도 SF에 상당부분을 할여하지만 유난히 SF가 약한나라가 우리라는 생각을 하게 된다. SF보다는 좀더 현실에 가깝고 아마도 일본이나 우리가 좀 그러지 않나 싶다. 그런데 일본은 노벨문학상이나 화학상 물리상을 받는 반면 우리는 현실적이고 심지어는 실리적이어서 그런가 아니면 상상을 하거나 미래를 위한 일보다는 항상 앞에 먹고 살방법과 눈앞의 것들을 생각하느라 그래서 그런건지 모르지만 내일을 생각하기 힘들었던건 아닌가? 내일에 대한 미래를 차분히 준비할수 있는 시간과 다가..

ZOOM 2024.02.10

자기의심

세상에서 내 꿈을 가장 많이 상처주고 심지어 그 꿈을 죽이는 것은 바로 자기의심이다. 자기가치에 대한 의심이 바로 그것이다. 스스로 나의 가치를 비하하거나 또는 조금이라도 성공할 자격이 없다고 이야기 하거나 매순간 자기 자신과 싸우는 사람에 대해서는 어떤 확신도 없어 보인다. 자신에게 더욱더 가혹해지는 이유는 바로 자기의심에서 출발하는 것이다. 자신의 가치를 믿지 않으면 나의 성공은 제한 될 수 있다. 자기에게 친절해라! 자신의 가치를 믿어야 한다. “I want to thank me for believing in me, I want to thank me for doing all this hard work. I wanna thank me for having no days off. I wanna thank..

Logos 2024.02.10

다르게 생각하라!

두려움을 극복하려면 당신도 그래야 한다. 다르게 생각해라! 두려움을 일으키는 것들을 경험하고, 두려움을 기회로 바라보라고 이야기 한다. 두렴움을 패배나 부정적인 것이 아닌 '승리'라고 생각하란 말이다. 변화자체를 막을수는 없지만 어떻게 변할 것인지는 선택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건단순하지만 아주 중요한 mindset이다. 당신이 닮고 싶은 사람들도 불안감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기억하라! 장담컨대 그들도 분명 당신과 똑같은 두려움과 몸부림을 마주한 적이 있다는 것을 이해하길 바란다. 혹시 이런생각을 할 수도 있다. 성공이라는 것이 단순히 돈을 많을 버는 것이 아니라 구체적으로 가족과 내 주변 사람들에게 선한 영향력을 끼칠 수 있는지 그러한 영향력을 가질 수 있다면 어느 정도의 재력을 가져야 하는지 혹 하지..

Logos 2024.02.10

출산율

왜 한국은 세계 최저의 출산율을 가지고 있을까? 왜 아이를 낳지 않는 걸까? 아이를 낳으면 안되는 환경으로 만드는 이유는 무엇인가? 왜 아이가 있으면 힘들어지고 문제가 되는 것일까? 우리가 가장 사회적으로 중요한 가치는 무엇이기에 아이라는 가치가 이렇게 경시되고 묵살되어진단 말인가? 생각해 보면 논리적으로 어렵지 않다. 비공인 세계 최고의 무한경쟁과 더불어 초고령사회가 만들어 놓은 부정과 부패들이 우리 사회를 병들기 시작하게 만들어 놓았다. 전통적인 농경사회에서 아이들은 천혜의 노동력 자원이었고 커다란 축복이었다. 왜 언론은 한번도 우리의 출산율이 낮은 원인과 그 사회적 문제까지 다가가지 않고 세계 최정의 출산율만을 자극적으로 이야기 하는 것일까요! 언론이 사회적 현실을 외면하고 살아가고 있고 어른들이 ..

Culture 2024.02.08

방송통신위원회 연도별 업무 계획(2008~2023)

방송통신위원회의 연도별 업무계획을 2008년부터 2023년까지 누계로 정리해본다. 1년에 2천억 이상을 집행하는 기관치고는 너무나 자체적인 내용이 부족하고 업에 미치는 영향은 실로 큰데 그 큰 집행 금액을 집행하는 것 치고는 실제 집행 업무에 대한 내용이 너무 적지 않나라는 생각을 해본다. 이조직이 방송미디어의 살리고 죽일수 있는 역량이 있는지를 살펴보자는 차원에서 연간업무가 어떤식으로 정리돼는지 보았다.

OTT

삶의 질이 좋아졌든 좋아지지 않았던 간에 우리의 OTT의 가격은 지속해서 상승하는 상황이고 CJ TVING의 입장에서는 2024년 아시안컵이나 2024년 프로야구의 판권을 손에 쥐고 아마도 단기간에 스포츠로 최대한 MAU를 올릴듯 하다. 아마도 프로야구에 쓴돈이 400억이라지만 네이버 다음이 예전에 집행했던 220억원의 판권에 180억원을 더해 아마도 독점권을 상대로 판권에 대한 상대한 광고수익과 웨이브와의 M&A시 주도권과 합병의 이익을 가져갈 것이 분명하기 때문이다. 새로운 최대표가 미디어 전문가는 아니지만 아마도 BSG에서 갈고 닦은 마케팅의 노하우를 백분 활용할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형편이 좋아졌다고 이야기 하는 사람은 대구경북 60대 아저씨들이 주로 인상돼었다고 하고 학생도 사업자, 무직퇴직..

Culture 2024.02.05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