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1/08 2

우리는 ~~

아마도 이 자료를 보면 왜 우리는 ott이용율이 10~20대는 감소하였고 30대는 조금 증가 40대부터 이용률이 5~6%증가해 있고 70대이상도 4% 가까이 와 왜 이렇게 증가하는 것일까? ott의 증가시간이 많이 늘었다면 그 시간에 있을 OUTDOORLIFE 에 대한 활동이 줄어서 OTT를 본 것일까? 우리가 이야기 하는 지방색이 이 자료만 보아도 일정 패턴이 검색돼네! 지방특성이 있다는 것과 지방색은 달라 보인다. 각기 저마다의 특성을 문화적으로 달리 가지고 있는 부분은 특성이지 차별이 아니듯 말이다. 저마다의 이유가 드러나 보인다. 제주에 있는 이는 이 좋은데 있으면서 해외나 다른 국내 여행을 갈 절실힘이 없어 보이고 서울은 국내보다눈 해외 여행을 주로 허고 여가생활의 만족도가 세종과 서울 ..

Culture 2025.01.08

이유있는 변절

이 사진을 보면 sbs 협약식 처럼 보이지만 sbs 출구전략이 보인다. waave의 공중파 3사의 협조 체제는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닌 것처럼 보인다. mbc는 디즈니 moving을  공중파 저녁시간에 편성을 하고 mbc는 한석규의 '이친배'를 쿠팡에 편성을  하는데 kbs는 어떤 움직임도 보이지 않는다. mbc 드라마 '이토록 친밀한 배신자' 제목을 넘 잘 만든것 같다. 스포츠에서는 공중파 계열의 mpp2사가 쿠팡에서 스포츠 제작을 하고 있는 상황이므로 여기 저기에도 정둘곳이 없는 kbs가 되었고 공중파 매출은 이렇게 추락을 해가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공중파는 cable에 디지털 트렌드로 꾸준히 말리는 상황에서 밀렸다가 tvn에 밀리다가 종편에 밀리다가 이제는 ott에 밀려 이제는 물기마저도 없어지고..

Culture 2025.01.0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