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인물 조광조
1750년경에 국오 정홍례가 그린 조광조 초상사림의 사상적 중시조, 나아가 조선시대 유교적 경장주의자들의 정신적 사표 조선 중기의 학자. 정치인. 자는 효직(孝直)[2], 호는 정암(靜庵), 본관은 한양(漢陽)조광조가 등장한 시기는 중종시절이었다. 중종은 연산군을 반정으로 몰아내고 반정공신들이 앉힌 왕으로서 실권이 약했다. 반정공신에겐 연산군의 폭정이 그것도 신하가 주동이되어 반정이라는 점에서 사회에 끼치는 영향이 컷다. 중종의 전통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었고 지속적인 사회불안의 원인이 되었다. 조광보의 옥사와 중종4년엔 왕실의 종친들이 연루된 옥사가 있었다. 문제는 논공행상(論功行賞)모순이었는데 바로 유자광같은 자가 공신으로 책봉된것이다. **유자광: 전라북도남원출신관료, 최고의 간신 , 서자이면서 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