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계승의 기본적인 개념은 n개의 원소의 순열의 개수로서 이미 12세기 인도 수학에 알려져 있었다.[1]
프랑스어: factorielle 팍토리엘[*]이라는 이름은 프랑스의 루이 프랑수아 앙투안 아르보가(프랑스어: Louis François Antoine Arbogast)가 사용하였다. 느낌표 표기법은 1808년 수학자 크리스티앙 크랑(프랑스어: Christian Kramp)이 저서 《보편 산술 원론》(프랑스어: Éléments d’arithmétique universelle)[2] 에서 처음으로 사용하였다. 크랑은 원래 계승을 프랑스어: faculté 파퀼테[*])라고 불렀으나, 이후 아르보가를 따라 "팩토리얼"을 대신 사용하였다.
음이 아닌 정수의 계승은 다음과 같다. (OEIS의 수열 A142)
0! | 1 |
---|---|
1! | 1 |
2! | 2 |
3! | 6 |
4! | 24 |
5! | 120 |
6! | 720 |
7! | 5 040 |
8! | 40 320 |
9! | 362 880 |
10! | 3 628 800 |
11! | 39 916 800 |
12! | 479 001 600 |
13! | 6 227 020 800 |
14! | 87 178 291 200 |
15! | 1 307 674 368 000 |
16! | 20 922 789 888 000 |
17! | 355 687 428 096 000 |
18! | 6 402 373 705 728 000 |
19! | 121 645 100 408 832 000 |
20! | 2 432 902 008 176 640 000 |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