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예민함

링마이벨 2020. 11. 14. 19:23
728x90
반응형

예민함이란 도대체 어디서 누구한테 오는 병인지 궁금하다. 왜 예민해질까? 예민함은 어디서 오는지 모른다. 심리적으로는 나의 기형 과거의 트라우마가 예민해지고 걱정이 많아지는 것이다. 만성적이고 trauma negative self image를 형성하는것이다. 자신의 불편함이 많아지고 예민해지는 것이다. 부정적인 자아가 만들어지는 원인는 외모가 해결되다고 해도 마음까지 치유가 돼는 것은 아닌 것이다. 강제적인 조치가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올 수도 있다는 것이다. 강제적인 조치가 필요해지는 것이다. 강제적인 상황에 노출될때 자신을 드러내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자신감을 갖게 되는 것이다. 왜 자신감을 갖기 어려운 것일까? 어떻게  negative 이미지를 극복하게 되는 것이다. 친부모에게 버림을 받게 되는 것 그러한 마음을 끊는힘이 필요하다. 

Deconditioning 둔감훈련을 하는 방법은 행동을 저지르는 것이다. 깔끔하게 하거나 회피하는 행동을 하게 되는데 화를 일부러 내기 할말을 일부러 하기, 일부러 지저분하게 살기, 지저분한 화장실 이용하기, 일부러 해보기, 일부러 지하철을 지나쳐 보기, 무안함당하기(12시 만나기로 했는데 12시 넘어서 들어가보기...), 일부러 못된짓 해보고 욕먹기, 굴욕당하기(굴욕을 당해보기,,) 한번만 해보면, 일부러 져주기, 대충해보기, 동감훈련 반복해서 해보면 2주에서 1개월 해보는것도 나쁘지 않을 듯 하다. 시작만하면 쉽습니다.  좋은 사람을 만나야 함 강제적인 조치와 조언해 줄 수 있는 전문가 충분한 시간과 노력이 필요함 하고 싶은 일에 집중하여야 한다. 좋은 배우자 이성친구와 책 롤모델 공감과 위로를 받을 수 있는 것 어찌보면 Deconditioning은 수용자 중심의 참고 견디는 것이어야 함이라면 

역린(逆鱗)은 건드리지 말아야 할 것은 건드리지 말아야 하는데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