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한상혁 위원장 방침
(2020.07.20)
- 넷플릭스, CJ E&M 방송발전기금 내야 불평등 해소될 수 있다. 넷플릭스, CJ E&M발전기금을 내야 불평등 해소될 수 있다. 왜냐하면 상대적으로 IPTV에 받는 발전기금을 생각하면 제외 될 수 있는게 없다. 넷플릭스가 해외에 두고 있는 SERVER가 국내 없다면 세금을 걷어 들일 수 없기 때문이다.
- "미디어랩도 중요한 이슈로, 중간광고나 간접광고에서 나아가 결합판매 등 다시 논의할 시점"이라면서도 사회적 논의기구의 필요성을 언급 미디어렙법은 공영성을 표방해서 미디어렙을 판매하는 방법이라고 생각한다.
- OTT도 공적 책임 존재한다.
- 방송시장에 대응, 장기적인 방송정책 거버넌스 통합 필요성도 강조했다. 방송과 통신 정책을 놓고 과기정보통신부와 진흥 및 규제 기능을 둘러싼 거버넌스 문제가 다시 부상할 지 주목된다. 한 위원장은 "OTT 규제는 필요 최소한이 방향이 맞지만 (여타 유료방송과 같은) 동일 서비스 동일 규제 역시 지켜져야 한다"며, "그런 기준을 가지고 살펴볼 생각"이라며 관리감독에 의지를 보였다.
- 언택트가 강조되면서 넷플릭스의 구독자수 증가세가 가파르다. 여기에 토종 OTT로 웨이브, 씨즌, 티빙, 왓챠플레이 등도 생존 경쟁에 돌입했다. 내년에는 디즈니플러스, 애플TV플러스, 피콕 등도 줄줄이 상륙할 예정이다. 문제는 누가 구독자를 더 만족시키는가이다. 고객가치 제고가 경영전략의 최고의 목표가 되었다. 이 경쟁의 이면에는 구독경제가 자리 잡고 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