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경기 2021년 6% 성장 경기는 성장햇는데 정부 가계는 정체되면서 성장율 3.2% 예상됨
2023년 전망치 imf 2.7% 성장 예상전망/ 2% 더 낮아질 것으로 예상함/ 올해보다도 훨씬 낮아질 것으로 예상함 / 1월전망에서 수정될 것으로 예상됨/ 경기 선행지수
재고 순환지표와 건설 수주액 장단기 금리차 5월에서 10월로 악화되고 있는 상황을 알 수 있음
지속적으로 하락의 수치를 보여줌 / 선행지수 순환변동치 나빠지고 2023년 1.7% 경제 성장예상하는 상황 , 1.2%까지 예상하는 상황, 노무라증권 -minus 예상하고 있는 상황
2023년 유일하게 중국만 경제 성장율 plus 예상 + 2023년 하반기 이후 소비 늘어날 것으로 예상
수출이 줄어들고 있고 침체에 빠질 수 있는 상황 , 2022년 4Q부터 감소세 늘어날 수 있는 상황
중국
2023년 중국 전망에 대해서 관심을 가지기 시작함/ 제로코로나 유지하는 상황에 중국 방역기준은 좀 낮출 생각/ 2022년 11월 29일 바로 봉쇄하고 바로 해제할 것으로 방침을 정함/ 강력한 조치는 완화 스탠스로 넘어갈 수 있음, 홍콩시장은 미국이나 해외시장의 영향을 많이 받는 반면 중국은 별로 영향을 받지 않는 것이다. 중국이 2개의 100년 목표 신중국 건립 100주년 대동사회 유토피아를 건설하자! 중국은 제로 코로나 영역과 봉쇄로 인하여 소비를 하지 못햇고 부동산 경기의 하락으로 소비 사이클로 영역이동이 안된터라 소비지수가 내려가는 상황으로 cpi가중치 식품안에서 중국은 돼지고기 수요가 4% 가중치가 1%로 떨어져 cpi에 영향력이 큰 상황이고 돼지고기 가격이 다시 오른 상황임.
올해 최저치 2130 주가전망은 인플레이션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인해서 시나리오 흐름에 맞춰 생각해 보는 것이 합리적으로 보인다. 물가 상승율은 작년대비 고물가는 계속 지속될 것으로 예상합니다. 짖는개는 물지 않는다. 정책도 금리 많이 올릴꺼다. 성장율이 1.8%
2023년 portfolio로 세가지는
태양관, 풍력, 신재생 에너지 , 은과 유류비
달러, 부동산, 배당주
그럼 태양광, 풍력, 신재생에너지와 배당주를 가져가면 돼는 것 아닌가? 싸우지 말고 ... 트렌드분석이 거품이 심했다라는 말 마음에 들기는 하지만 경험하지 않았던 현상을 이야기 하는 것 보다는 영업이 더 중요해질 수 밖에 없다. 라는 것을 경험할 수 밖에 없다는 것을 알 수 있을 듯 하다.
이 변화가 다른 모든 것을 가져오는 것이냐? 라는 부분과 이 변화도 사실은 우리가 겪던 그 변화와 크게 다르지 않을 것이라는 것 두가지 라는 흐름으로 예측할 수 있는데 어떤 변화를 가져올지가 가장 궁금하기도 하다. 사실 변화를 조장하는 것과 그 변화를 크게 다르게 보지 않는 시각이 두가지로 나뉘는 것을 볼 수 있다. 20년 21년은 완화의 시대이고 21,22년은 긴축의 시대여야 한다. 겨울이 오면 월동준비를 해야 합니다. 종목만 보면 안됩니다. 미국 중앙은행 2% Goal , 집값 안정화는 미 중앙은행과 한국은행의 책임이 아니다. 어려운 국면에 진입하는 것도 사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