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틱톡

링마이벨 2025. 1. 19. 19:19
반응형

틱톡이 중국 정부의 데이터 수집 우려를 이유로 틱톡강제매각법을 통과시켰다. 이 법에 따르면 틱톡은 내년 1월 19일까지 중국 본사와의 결별을 위해 새로운 소유주를 찾아야 하며, 그렇지 않으면 미국 내 서비스가 중단될 수 있다. 트럼프 당선인은 이번 대선 기간 동안 Z세대를 겨냥해 틱톡 금지를 막겠다는 공약을 내세웠으며, 한국에서도 알리가 하는 마케팅이 데이타 개더링에 있지 물건판매는 아니라고 이야기 한것이나 맥을 같이한다. 지난해 11월 미연방수사국(FBI)은 하원 외교위원회에서 중국 정부가 틱톡 사용 개인정보를 수집하고 알고리즘을 통제해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다고 경고한 바 있다. 어떤 알고리즘이기에 실제적으로 미국이 군사적인 우려를 하게 되고, 프랑스/호주/일본도 겁내하는 우려하는 알고리즘이 된 걸까? 잘 이해가 돼지 않네! 

톡은 두 개의 피드를 가지고 있습니다. 하나는 팔로잉 피드입니다. 개별 이용자가 팔로잉하는 계정 그리고 해당 이용자와 각 계정사이의 상호작용 등을 측정해서 틱톡 '팔로잉' 피드가 구성됩니다. 페이스북, 인스타그램과 유사합니다. 이른바 팔로워-팔로잉이라는 소셜 그래프가 피드 알고리즘의 기초를 구성합니다. 다른 하나는 추천(For You) 피드입니다. 이 피드를 구성하는 알고리즘은 틱톡이 성공하는데 결정적 기여를 한 요인 중 하나입니다. 틱톡 추천 피드는 소셜 그래프가 아니라 이른바 콘텐츠 그래프 또는 인터레스트 그래프에 기초하고 있습니다. 군사적인 두려움이 존재하는 것일까? 왜 이런 두려움을 피력했을까? 
당초 CFRA리서치는 틱톡의 미국 사업 가치를 600억 달러로 평가했다. 평가액을 낮춘 것은 "틱톡 서비스에서 중요한 추천 알고리즘 가치를 포함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지노 부사장이 설명했다. 그는 또 “미국 정부는 틱톡 알고리즘이 중국과 연관돼 미국 안보를 위협한다고 본다”고 덧붙였다. 미국의 혼을 뺄 수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하나 보다. 알고리즘이 얼마나 파급이 크고 무서우면 말이다. 

틱톡 추천 알고리즘 비밀 1: 상호작용 없는 콘텐츠에 가중치 0 부여

2021년 12월 5일 뉴욕타임스는 틱톡 추천 알고리즘의 기본 구조를 공개했습니다. 틱톡 모회사 바이트댄스(ByteDance)의 개발자는 틱톡 직원 중 비개발자 직원을 대상으로 틱톡 추천 알고리즘을 설명하는 문서를 작성했습니다. 그런데 이 문서가 유출되었습니다. 뉴욕타임스가 전문가 상담을 통해 이 유출된 문서를 분석한 글이 아래 기사입니다.
How TikTok Reads Your Mind, It’s the most successful video app in the world. Our columnist has obtained an internal company document that offers a new level of detail about how the algorithm works. 
 
위 기사에서 공개된 틱톡 추천 알고리즘의 핵심 공식은 아래와 같습니다. 
(PlikeVlike)+ (PcommentVcomment)+(EPlaytimeVplaytime)+(PplayVplay)

 
  1. Plike: 이용자 A의 좋아요 수로 0 또는 1의 값을 가짐
  2. Vlike: 영상 전체 좋아요 수
  3. Pcomment: 이용자 A의 댓글 수로 0 또는 1 이상의 값을 가짐
  4. Vcomment: 영상 전체 댓글 수
  5. EPlaytime: 이용자 A의 재생시간
  6. Vplaytime: 영상 전체☓ 재생시간
  7. Pplay: 이용자 A의 (반복) 재생 수로 1 이상의 값을 가짐
  8. Vplaytime: 영상 전체 (반복) 재생 수

여기서 중요한 점은 1번, 3번 그리고 7번입니다. Plike와 Pcomment는 0의 값을 가질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틱톡 추천 알고리즘에서 이용자가 특정 영상에 좋아요를 표시하는 경우와 댓글을 다는 경우 해당 영상의 가중치는 매우 크게 증가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용자가 특정 영상을 수동적으로 소비할 경우 해당 영상의 좋아요와 댓글은 해당 이용자의 인터레스트 또는 관심사를 분류하는데 어떤 역할도 할 수 없습니다. 이용자가 특정 영상에 좋아요를 표시하지 않을 경우 해당 영상이 이미 좋아요 10만개를 가졌어도 이 이용자에게 (Plike☓Vlike) 값은 0입니다. 이 부분, 다시 말해 이용자 개인의 참여 수준에 매우 높은 가중치를 부여하고 있는 점이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유튜브 등과 틱톡의 결정적 차이점입니다. 7번도 중요합니다. 이용자의 반복 재생 수가 전체 재생 수에 곱해집니다. 이것이 숏폼 영상에서 반복 재생 수를 높이는 것이 중요한 이유입니다.

틱톡 추천 알고리즘 비밀 2: 물방울 원칙

틱톡 알고리즘의 또 다른 특징은 이른바 물방울 원칙입니다. 틱톡 추천 알고리즘은 특정 영상을 처음부터 큰 규모의 이용자에게 추천하지 않습니다. 틱톡에는 수 많은 테스트 이용자 그룹이 존재합니다. 특정 영상이 작은 규모의 이용자 그룹에서 반응이 좋다면 보다 큰 이용자 그룹에 이 영상을 추천합니다. 여기서도 반응이 좋다면 보다 더 큰 규모의 이용자 그룹으로 추천 영역이 확대됩니다. 이렇게 작은 이용자 그룹에서 시작해서 보다 큰 그룹으로 영상 추천의 반응을 점검하는 방식이 물방울 원칙입니다. 이 물방울 원칙에서 좋은 성적을 거둔 영상은 강력하게 바이럴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마케터 입장에서 물방울 원칙을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까요? 최적의 발행 시간을 찾는데 물방울 원칙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브랜드 계정 또는 크리에이터 계정이 주요 타켓으로 하는 이용자 그룹이 틱톡 이용이 본격화되는 시점을 찾아내는 것이 좋습니다. 그래야 물방울 크기가 커지는 시간대가 타겟 이용자 주요 이용시간과 겹치는 영역이 커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자세한 답변은 곧 발간될 <마케터가 즐거운 틱톡 마케팅(가안)>에 담겨있습니다.
 

'틱톡 금지법'' 위헌 소송에 첫 대응…법원에 문서 제출
"민감한 주제 관련 美이용자 데이터 수집…안보 위협"
"中이익 부합 판단시 은밀히 영향력 행사 가능성 있어"

 
미국이 틱톡을 두려워 하고 있구나! 틱톡의 기술이 미국인 전체를 통제할 수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트럼프가 두려워 하는 부분이랑 맥을 같이 하는구나! 군사적이즌 비 정치적이든 난 문화적 현상과 그 침탈을 두려워 하는 듯이 보인다. 그들 인구의 1억명 이상이 쓴다하면 과거 미국이 맥도널드로 문화적 침탈의 첨병 노력을 했듯이 미국의 중국 문화로 혹 전복을 두려워 한 것은 아닌지 의심하게 한다. 그들의 알고리즘이 넘 강력해 미국이 문화적 쓰나미에 휘말릴것이 두려운 것 아닌가? 가장 먼저 히스패닉과 인종 아시안이 커다란 세력으로 합해지고 그 문화에 틱톡이 위력을 가지고 있기 때뮨으로 보인더. 트럼프의 선거전략 즉 nationalism에 가장 치묭적인 위헙 요인을 가지고 있기 땜 ㄴ 아닌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