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 애플 싱가폴 지사 통해서 기기를 수입해서 매출금액이 적음 세금 빼돌리려고 싱가폴에서 기기수입
- 중국 78년 시장화개혁 이후 최대의 위기를 맞고 있는 상황: 사회주의 시장경제 쉬운말로 하면 좌회선 등을 켜고 우회전 하는 경우로 이해하면 될 듯 2001년 글로벌 계획하에 들어오게 됨 수출주도형으로 발전돼어 오다가 기술과 자본을 주로 주던 미국이 자본을 주지 않기 때문에 해외에서 들어오던 기술과 자본이 없어지니 자체에서 자본과 기술을 부양시켜야 하는데 홍콩과 대만이 필요할 수 밖에 없는 상황
- 핵심 기술을 가져야 하는데 은행은 리스크를 앉지 않는데 상대방이 어려우면 버리는데 자본시장은 운명을 같이 하는 경향이 있고 자본시장이 오래동안 같이 리스크를 같이 하여야 하는데 은행이 메인 기업으로 가다보니 돈이 안전한 국유기업이나 부동산으로만 돈이 들어갔는데 시장으로 가야하는 것이 멈추는 선순환 구조가 어려운 상황
- 수출동안 중국이 실적이 좋았는데 소비가 올라오지 않다보니 투자소비가 올라가야 하는데 투자는 부동산에 돈이 묶이고 소비 DATA를 보면 소비가 약하다 보니 투자를 지방정부가 해왔는데 부동산이 묶이면서 개발업체가 부동산을 사주지 못하다 보니 돈이 묶이지 않는 상황으로 치닫고 심지어는 부채에 갇혀있다는 것이다. 지방정부 24조 채무가 있는데 그림자금융 규모는 80조가 넘는 것으로 이야기 하고 있다.
- 국유기업이 이익의 60%를 가져갔기 때문에 민간기업은 80%를 일하면서 국유기업에 속한 사람들만이 돈을 많이 가져가는 이유이다. 낙수효과가 전혀 없는 이유다.
- 공동부유가 실질적으로 이러한 기득권과 반대로 움직일 수 없으므로 부딛힐 수 밖에 없다.
- 그런데, 이러한 상황하에 외국자본이 들어가는 이유는 잘 이해가 안돼지만 위기가 오면 정부가 돈을 풀때마다 부의 재분배가 일어나는데 인플레이션을 만들수 밖에 없는데 돈은 다시한번 부자한테 가는데 그돈이 결국은 부자한테 돈이 갈 수 밖에 없다. 돈이 있는 사람들은 돈을 해먹을 장소를 찾는데 꼬꾸라지면 더 좋은 이유는 헐값에 살 수 있기 때문에 위기는 사실 자본가들을 위한 기회가 돼는 것이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