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2025년 KBS가 나아갈 길과 매출 증대 전략, 콘텐츠 기업으로의 변화, 공영방송으로서의 과제
KBS는 2025년을 맞아 공영방송으로서의 책임과 경쟁력을 동시에 강화해야 합니다. 방송 시장이 OTT 중심으로 재편되고, 광고·수신료 등 전통적 수익 구조가 약화되는 상황에서 디지털 혁신, 수익 다변화, 공적 책무 수행을 균형 있게 추진해야 합니다.
1. KBS가 콘텐츠 기업으로 나아갈 길
- 디지털 퍼스트 전략 가속화
- 기존 TV 방송 중심에서 디지털·모바일 중심으로 개편
- 넷플릭스, 웨이브, 디즈니+ 등과 공동 제작·IP 수출 강화
- FAST(무료 광고 기반 스트리밍)·AVOD(광고 기반 주문형 비디오) 플랫폼 론칭
- 글로벌 콘텐츠 시장 공략
- 드라마, 다큐멘터리, K-POP, 예능 글로벌 수출 확대
- KBS 월드 및 SNS(유튜브, 틱톡, 인스타) 채널 성장
- 다국적 OTT와의 공동 투자 유치
- MZ세대 공략을 위한 포맷 혁신
- 숏폼(Shorts, Reels, TikTok) 전용 콘텐츠 제작
- OTT·SNS 중심의 웹 예능, 웹 드라마 확대
- 인터랙티브 콘텐츠 (예: 시청자가 선택하는 결말)
- IP(Intellectual Property) 확장과 브랜드 사업화
- KBS 대표 콘텐츠 기반 MD 상품 개발
- KBS 인기 프로그램을 활용한 웹툰, 게임, 공연 사업 확대
- AI·VR·메타버스 연계 콘텐츠 제작
2. KBS 매출 증대 전략
- 광고·협찬 수익 다변화
- PPL(간접광고) 및 브랜드 콘텐츠 확대
- OTT·디지털 광고 (프로그램 내 AI 기반 맞춤 광고)
- 건강기능식품·자동차·금융 등 프리미엄 광고 유치
- 구독형 콘텐츠 도입
- KBS 다큐·보도·예능 프리미엄 구독 모델 개발
- 유료 OTT 연계한 뉴스, 시사 콘텐츠 차별화
- 라이선스·IP 사업 확대
- KBS 인기 프로그램 포맷 해외 수출 (예: 무한도전 포맷 수출)
- KBS 캐릭터·굿즈·콘서트·이벤트 사업 확장
- 이벤트·페스티벌 사업 확대
- KBS 브랜드 활용 오프라인 행사, 토론회
- 스포츠 중계·음악 페스티벌 등 유료 행사 기획
3. 공영방송으로서 KBS의 과제와 방향성
(1) 공적 책무 강화: 신뢰 회복과 시청자 중심 서비스 제공
- 공정하고 심층적인 뉴스·시사 콘텐츠 제작
- 지역·소수자·약자 대상 콘텐츠 제작 확대
- 데이터 저널리즘·팩트체크 프로그램 활성화
(2) 수신료 문제 해결과 공영방송 재정 안정성 확보
- 수신료 현실화 논의 지속 (OTT 수신료 포함 모델 검토)
- 공적 지원 확대 및 수익 다변화를 통한 자립도 향상
(3) 정치적 독립성 확보
- 공영방송 이사회 독립성 강화
- 편파성 논란을 해소할 내부 시스템 구축
(4) 디지털 공공 서비스 확대
- KBS 아카이브 개방 및 AI 기반 뉴스 추천 서비스
- 디지털 공공방송 플랫폼 구축 (예: 공익 다큐·교육 콘텐츠 제공)
결론: KBS의 미래 전략
- 공영방송으로서 신뢰성 확보
- 디지털·글로벌 시장에서 콘텐츠 경쟁력 강화
- 수익 다변화를 통한 지속 가능성 확보
KBS는 변화하는 미디어 환경 속에서 "디지털 혁신"과 "공영방송의 역할"을 동시에 강화해야 합니다. 🚀📺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