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행복 3

surplus hapiness 잉여의 행복

보여지는 행복, 누구나의 이해를 바라는 행복, 우리의 행복은 이해되어지기를 바란다. 그 행복도 공감이 필요한 영역이 된 것이다. 행복은 많을수록 좋은 거 아닌가? 그런데 왜 **"과잉"**이라는 말이 붙었을까? 아마도 잉여라고 해석하는 것이 낫을듯 하네여! 잉여의 행복 아마도 우리는 행복하려고 살게 됩니다. 잉여의 행복은 자본주의적 감정의 디폴트 값입니다. 즉 목적이자 의무이기 때문입니다. 행복은 이제 '의무'다. 왜 ~~ 디지털 사회가 되면서 내 감정이 매일 매일 보여지고 내 감정이 객관화 분석화 되는 입장이기 때문입니다. 혹  당신은 “항상 긍정적이세요!” 아니면 “행복한 하루 되세요!”, “너무 우울한 말은 하지 말자~” 등 감정을 마케팅처럼 포장하고, 기분도 자기관리의 일부가 된 사회로 보여집니다..

Culture 2025.03.25

행복이란?

인간은 누구나 사적으로 공적으로 추구하는 목표가 있고 그것을 달성하기 위해 어떤 것들을 택하기도 하고 피하기도 한다. 모든 권유와 만류는 행복과 행복에 도움이 되거나 불리한 것드레 관련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우리는 행복이나 행복을 구성하는 요소중 하나를 만들거나 늘리는 것은 하되, 행복을 파괴 또는 방해하는 것이나 행복과 반대되는 것을 만들어 내는 것은 하지 말아야 한다. 음 모든 권유와 만류라! 행복을 위해 하라고 하고 하지 말라고 하는 것이란 구체적 타당성을 위해 말하는 것으로 이해되는 말이다. 참으로 쉽지만 어려운 말이다. 행복이란 어떤 기준선을 설정하는 작업이 가장 중요하다는 생각이 든다. 최초의 목적 말이다. 어떤 목표치를 가지는지에 관련돼서는 최저 임계치를 설정하는 것 보다는 우리의 삶에 지향..

Culture 2024.03.29

무릇 로직이란? 로직

logic 칼과 방패 세상 어떤 방패도 막을 수 없는 칼과 어떤 칼도 뚫지 못하는 방패 가장 강한 강점이 가장 약점이 된다는 ... 칼로 흥한자는 칼로 망하고 붓으로 흥한자는 붓으로 망한다. 반도체로 흥한자는 반도체로 망할 수 있다는 이야기 영원한 1위도 없고 영원한 패자도 없단 이야기가 될 수도 있다. 생존한 이유가 죽어야 할 이유가 될 수도 최고의 저격수는 최고라는 이유로 죽음을 당할 이유를 많이 가지고 있고 넘 행복하고 싶은 이유로 불행해질 수 밖에 없는 너무 아픔이 많은 사람은 행복을 즐기지 못하고 너무 행복하기만 한 사람은 쉽게 오만하고 부주의함을 너무 가까이 있으면 멀리 있는 사람의 외로움을 알지 못하고 너무 멀리 있기만 하면 가까이서 행복을 즐기는 법을 알지 못하고 행복과 불행이 얼마나 가까..

Culture 2023.02.13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