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ing/플랫폼

KBSN 콘텐츠 유형별 뉴 브로커 전략 정리 및 실행 자료

링마이벨 2025. 4. 5. 10:05
728x90
반응형

1. 스포츠 콘텐츠 전략

▶ 브로커 모델

  • 팬-브랜드 매칭 플랫폼: 스포츠 팬 기반 성향 데이터 분석을 통해 광고주와 콘텐츠 간 정밀 매칭
  • 글로벌 유통 브로커: 비인기 종목, 대학/생활 스포츠 콘텐츠를 해외 플랫폼으로 유통
  • 굿즈/이벤트 브로커: 팬 반응 기반 굿즈 자동 생성, 실시간 이벤트 연계

▶ MVP 기능

  • 팬 성향 기반 광고 자동 추천 엔진
  • 경기 하이라이트 자동 생성 시스템 (AI)
  • 글로벌 콘텐츠 유통 포맷 자동화 도구 (자막, 클립 분할 등)

▶ 기대 효과

  • 중계 광고주 유치 강화
  • KBSN 자체 브랜드 강화
  • 콘텐츠 수익 다각화 (FAST 채널, VOD, 글로벌 유통)
 

2. 예능 콘텐츠 전략

▶ 브로커 모델

  • 숏폼 브로커: 예능 클립 자동화 시스템 + 유튜브/숏폼 플랫폼 유통
  • IP 기반 커머스 브로커: 출연자/캐릭터 기반 굿즈, 커머스 연계
  • 브랜드 협찬 브로커: 브랜드 속성 분석 기반 협찬 매칭 알고리즘

▶ MVP 기능

  • 출연자 중심 팬덤 데이터 분석 대시보드
  • 클립-to-굿즈 연동 기능 (예: 짤 → 티셔츠, 머그)
  • 협찬 패키지 자동 추천 툴

▶ 기대 효과

  • 예능 콘텐츠의 장기 수익화
  • 브랜드-출연자-콘텐츠 3자 매칭 플랫폼 가능성

 

3. 지역 다큐 / 기록 콘텐츠 전략

▶ 브로커 모델

  • 오픈 아카이브 브로커: 크리에이터, 교사, 공공기관에 영상 재활용 허브 제공
  • 지역 콘텐츠 리패키징 에이전시: 지역 인물/문화/역사를 스토리 콘텐츠로 리패키징

▶ MVP 기능

  • 아카이브 검색 + 사용 신청 시스템
  • 자동 메타데이터 태깅 툴 (지역, 인물, 주제)
  • 저작권 확인 + 2차 저작 가이드 툴킷

▶ 기대 효과

  • 장기 미활용 콘텐츠의 2차 유통 활성화
  • 지역 제작자/청년 창작자 유입 확대

 

4. 행사 / 라이브 이벤트 콘텐츠 전략

▶ 브로커 모델

  • 참여형 OTT 브로커: 현장 콘텐츠 + 실시간 스트리밍 + 투표/챌린지 연동
  • 지역 경제 연계형 브로커: 행사 콘텐츠 기반 티켓, 숙박, 커머스 연계

▶ MVP 기능

  • 스트리밍 플랫폼 + 댓글/투표 기능 통합
  • 티켓+굿즈 패키지 자동 판매 모듈
  • 지역축제 마케팅 자료 생성 시스템

▶ 기대 효과

  • 지역 기반 이벤트의 수익 모델 확보
  • 로컬 파트너와의 공동브랜드/공영 콘텐츠 개발 가능
 

통합 기대 효과

영역브로커 기능기대 효과

콘텐츠 숏폼/아카이브 유통 촉진 장기 콘텐츠 자산화
광고 브랜드 정밀 매칭 광고 수익 극대화
커머스 팬 기반 굿즈/티켓 중개 유료화 채널 확대
지역 지자체/제작자 연계 공영성과 수익성 동시 확보

 

후속 작업 제안

  1. 피치덱 구성
    • 시장 배경 / 문제 정의 / 브로커 전략 / MVP 플로우 / 기대 수익
  2. MVP 서비스 플로우 정리
    • 각 콘텐츠 유형별 사용자 흐름도 (UI/UX 시각화)
  3. 시장 타당성 조사자료
    • 타 플랫폼 벤치마킹, 광고 단가, 유통 수수료, 콘텐츠 조회수 분석
  4. 정부/기관 제안서 구성
    • 공영 플랫폼으로서의 사회적 가치 + 수익 창출 가능성 요약

▷ 제안서 주요 내용

① 공영 플랫폼으로서의 사회적 가치

  • 콘텐츠 접근권 확대: 지역, 청년, 소수 콘텐츠의 유통을 브로커링해 다양성 확보
  • 지역 균형 발전: 로컬 크리에이터와의 협업, 지역 축제/이벤트 유통으로 공영방송의 지역책무 실현
  • 디지털 시민 플랫폼: 참여형 OTT 구조와 아카이브 공개로 시민 주도형 미디어 환경 조성

② 수익 창출 가능성

  • 광고 수익: 팬-브랜드 정밀 매칭 시스템을 통한 고효율 타깃 광고
  • 글로벌 유통 수익: FAST 채널/OTT 연계를 통한 중계권 및 사용료 수익
  • IP 커머스 수익: 숏폼 클립 기반 굿즈 제작 및 커머스 연동 수익
  • 지자체/브랜드 협약 수익: 지역 축제 콘텐츠 유통, 홍보 연계 수익 모델

③ 정부·공공 협력 가능성

      • ESG/지역균형 발전 과제와의 정합성
      • KBSN의 공영미디어 인프라 활용 → 디지털 공공재 플랫폼으로 확장 가능
      • 공영 플랫폼으로서의 사회적 가치
      • 수익 창출 가능성
      • 정부·공공 협력 타당성 
      •  

▷ 제안서 주요 내용

① 공영 플랫폼으로서의 사회적 가치

        • 콘텐츠 접근권 확대: 지역, 청년, 소수 콘텐츠의 유통을 브로커링해 다양성 확보
        • 지역 균형 발전: 로컬 크리에이터와의 협업, 지역 축제/이벤트 유통으로 공영방송의 지역책무 실현
        • 디지털 시민 플랫폼: 참여형 OTT 구조와 아카이브 공개로 시민 주도형 미디어 환경 조성
        • 문화 자산 보전 및 활용: 장기 미활용 콘텐츠를 디지털 자산화하여 공공적 가치 확대
        • 미디어 교육 활성화: 지역 다큐, 기록물 아카이브를 활용한 미디어 리터러시 확산

② 수익 창출 가능성

        • 광고 수익: 팬-브랜드 정밀 매칭 시스템을 통한 고효율 타깃 광고 (예: 스포츠 + 금융 브랜드)
        • 글로벌 유통 수익: FAST 채널/OTT 연계를 통한 중계권 및 사용료 수익 (예: 비인기 종목의 해외 중계)
        • IP 커머스 수익: 숏폼 클립 기반 굿즈 제작 및 커머스 연동 수익 (예: 예능 캐릭터 IP 활용)
        • 행사/이벤트 기반 수익: 티켓 + 라이브 스트리밍 + 실시간 팬 참여형 콘텐츠 수익 모델
        • 지자체/브랜드 협약 수익: 지역 축제 콘텐츠 유통, 홍보 연계 콘텐츠 제작 시 정부/브랜드 협찬 가능

③ 정부·공공 협력 가능성

      • 공공기관과의 ESG 연계사업: 탄소중립, 지역 균형 발전과 연계 가능한 ESG 기반 공공 콘텐츠 모델
      • 문화체육관광부, 지자체 협력모델: 지역문화 콘텐츠의 디지털 유통,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미디어 플랫폼 제안 가능
      • 미디어 교육 정책과의 연계: 아카이브 기반 교육 콘텐츠로 교육부, 교육청, 평생교육센터 등과 협력 가능
      • 지역 창작자 육성 지원 사업화: 공영방송 플랫폼 기반으로 지역 크리에이터 유입을 위한 정부 지원 과제화 가능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