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경기 침체로 콘텐츠 생태계의 쏠림 현상이 심화와 더불어 해외제작을 통해 콘텐츠 사업자의 2차 변형이 시작되면서 추가적인 Valuation 상승기대.
- '23년 콘텐츠 제작편수는 금년대비 -18% 감소한 106편으로전망(업계취합자료 SK 조본부장)
'22년 | '23년 | 증 감 | |
지상파 | 39 | 35 | -10% |
CJ/종편 | 47 | 50 | 6% |
OTT | 44 | 21 | -52% |
총편수 | 130 | 106 | -18% |
- 새로운 시도 보다는 흥행물의 속편 안정적인 제작 선호로 위협을 기피하지 않음- 한편당 80-110억원이 비용을 감안하면 106편 X 100억원 = 1조 600억원 추산 할 수 있음
- 10년 이상 진행시 IP수익이 광고수익률을 추월하는 현상 생김

- 콘텐츠 사업자의 2차 Transformation
방송사(BM ~16년) | 방송사 종속형 하청구조(년간2~4편) |
OTT BM(16-22년) | 대형화 및 글로벌 OTT납품을 통한 최소 수익성 |
글로벌BM(23~) | 미국, 유럽현지 기획, 제작, 배급시작 스튜디오드래곤, 미국와 협업 |
글로벌 진출 본격화로 스튜디오드래곤 가치는 21년말 대비 35% 증가예상
OTT는 엔데믹 하에서도 꾸준히 성장했으나 가입자 규모 면에서는 성숙시장에 진입햇고 Netflix를 제외하고는 수익성을 확보하지 못해 정체 타개를 위한 모색중
- OTT는 꾸준히 성장했지만 성숙 국면 진입 : OTT총 이용자수는 6% 증가: OTT합산 MAU는 '22년 10월 2799만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143만명 증가/ 디즈니, 티빙, 쿠팡플레이가 성장을 견인하였고 , Nefflix, Wavve는 소폭 감소
- 시장 성숙 단계로 들어서면서 OTT중복 이용자수 증가도 정점
- Netflix 등 광고 기반 SVOD 시장의 가능성 탐색 : Netflix 5500원, Disney+ 역시 광고형 요금제 출시
- 인수합병을 통한 POC(Proof of concept 실현가능성이 있는지 검증하는 과정) 확보와 단기간에 이용자 규모 확보
광고주들의 예산 절감에 따라 광고시장이 3% 가량 하락할 전망/ 방송광고는 10% 축소돼는 한편 디지털은 경기 비탄력적인 검색광고가 안정적으로 성장하며 시장 규모 유지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