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ney

2023년 우리는 어디로 가는것인가?

링마이벨 2023. 3. 23. 07:33
728x90
반응형

8조 9천억달러에서 2023년 1년동안 6천억달러 줄였는데 2023년 3월 1주일 동안 3천억달러를 늘려놓은 상황이니 미국의 위기는 무언가 있는듯 하다.  

미국은 돈을 엄청늘리고 미국국내만 따스하게 한 상황인데 뭔가 문제는 발생한 상황으로 예측됨. 어떤나라는 부도가 날 수 밖에 없는 상황 :  대한민국이라는 둑만 나갈 수 있는 상황이거나 개도국 일부만 나갈 수 밖에 없는 상황, 이왕이면 중국이 망가졌으면 좋겠다고 생각하는 것이고 중국이 아니라면 한국이 그 나라가 될 수도 있는 상황이다. 긴축중에 양적완화를 하는 이유 credit swiss 부도난 상황 코코본드를 가지고 있는 사람은 모두 zero에 가까워 질 수 있는 상황/ 대한민국은 증시와 부동산을 살리는 정책은 위험할 수 있음/ 경상수지 적자에 대한 처방으로 고금리 강달러 정책을 쓴것이고 경기를 후퇴시켜야 공급을 감소하고 소비가 위축되는것

IMF 외환위기 가장 큰 외환문제점 가장 잛게 성공적으로 IMF를 벗어난 국가에 속함_ 강력한 긴축정책, 금융기관 1/3이 사라지고 공급능력과 소비가 줄어들고 위기를 줄이려면 금리를 낮추고 본원통화를 늘림 유동성을 환수해야 하는데 그것에 대해 부정적 대처를 하다보니 정치적원인이 지속하여 발생하는 상황

미국의 금융위기가 발생, 전세계적으로 전염성이 강함, 통화스와프 7개국 매일매일 변경할 수 있도록 함(유럽, 일본, EU)

 

3월23일 FOMC 결과 0.25%인상: 물가도 안잡히고 금융불안이 큰상황/ 미국의 금융시장에 대해 불안함  미국의 기준금리 5%대 올라옴, 베이비스텝, 미국과 금리차 1.5% 차이나게 생겼음 

     유동성이 풍부해지면서 국채에 본격적으로 투자하면서 국채금리가 오르면서 가격이 떨어지면서 손실이 발생하게 된 직접적인 원인이 발생하게 된 것이다. 실물경제 경기침체로 실물돈을 돌려달라고 인출사태가 일어나니 채권을 팔면서 SVB문제가 발생하게 된 것이다. 

신뢰보다는 돈의 유동성으로 막다보니 여러가지 불안한 요인이 발생하게 된 것이다. 

금리인상속도를 더디게 하자! 2023년은 점도표 모두 5이상으로 나와있다. 5.1% 더 될 것 같다. 한번더 추가적인 인상을 할 수도 있다. 5월에 할 수도 있고 데이타를 보고 판단할 수 있다. 물가와 금융불안 두가지 숙제가 있을 수 있다. 

fomc 성명서 

물가잡기위해 금리인상하겠다. 3월달 미국은행시스템이 건강하고 위협으로부터 위기대응 능력이 있다. 은행들은 수익보다는 안정성을 추구해 은행의 시스템 리스크에 집중하고 있다고 봄. 금리원인이므로 금융부실 상태로 은행입장에서는 안정성을 추구하다 보니 연준이 일반은행에게 대출을 덜 하겠다고 하는 것임. 대출을 좀 어렵게 하겠다. 경제 전반적인 상황을 지켜보겠다는 생각. 

fomc의 입장이 세계경제에 끼칠 수 있는 영향으로 보면 금리동결의지에 추가적인 금리 인상 문제가 걸려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