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lture

파란 '摆烂'과 관련된 심화 문화적 배경이나 사회적 영향

링마이벨 2025. 3. 15. 17:34
728x90
반응형

중국의 문화사조라 찾아보던 자료에서 우리와 너무 유사해서 자료를 옮겨본다. 중국의 경제는 우리와 너무나 흡사하다. 흡사한 것이 아닌 거의 sync 100%다. 아마도 최소한 내가 생각하기에 다른 사람이 어떻게 느낄지 모르지만 같이 암울해 지는 것 같아서 여러가지 두려운 생각이 든다. 

**'摆烂'(bǎi làn)**이라는 표현은 단순히 개인적 좌절을 넘어, 중국 사회의 청년 세대가 겪고 있는 구조적 문제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아래에 심화 문화적 배경과 사회적 영향을 정리해 드릴게요.


✅ 1. '摆烂'의 등장 배경

🔹 사회 경제적 배경

  • 경쟁 과열: 중국의 교육, 취업, 부동산 시장에서 극도의 경쟁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 청년 실업 증가: 특히 대졸 청년 실업률이 20% 이상까지 오르면서, 졸업 = 실업이 되는 현실.
  • 빈부 격차 확대: 부자와 가난한 사람 사이의 격차가 심해지고, **상향 이동(mobility)**이 점점 어려워짐.
  • 집값 폭등: "부동산=인생의 성공"이라는 사회적 가치관 속에서 집 한 채 사기 불가능한 상황.
  • 과도한 사회 규범: 체면, 가족 기대, 성공에 대한 압박이 심한 사회 분위기.

📌 이런 환경 속에서 노력해도 바뀌지 않는 현실을 체감한 청년들이 **"차라리 망가지자"**라는 심정으로 **'摆烂'**을 사용하기 시작.


✅ 2. '摆烂'의 심리적/문화적 의미

🔸 심리적 의미

  • "더 이상 버티지 않겠다."
  • "노력의 무의미함에 대한 자각."
  • "나를 포기하고 싶은 심정."

🔸 문화적 의미

  • 청년 세대의 집단적 심리로 자리 잡음.
  • 기존의 성공 신화에 대한 불신과 조롱.
  • "노력=행복"이라는 이데올로기의 붕괴.

✅ 3. '摆烂'의 사회적 영향

🔹 긍정적 영향 (잠재적)

  • 사회 구조에 대한 문제 제기: "노력하면 성공한다"는 기존 담론이 허구임을 폭로.
  • 신자유주의적 경쟁 체제 비판.
  • 청년 문제의 가시화: 정부와 사회가 청년 문제를 인식하게 만드는 계기.

🔹 부정적 영향 (현재)

  • 사회적 무기력 확산: 청년들이 적극적 목소리를 내기보다 체념.
  • 정치적 침묵: 불만이 체계적인 저항이 아니라 개인적 탈락으로 귀결.
  • 생산성 저하: 일터에서 최소한의 일만 하고 의욕 상실.
  • 대안 없는 체념: 공동체나 운동으로 연결되지 못하고 개인의 절망으로 남음.

✅ 4. '摆烂'과 관련된 다른 키워드와 연결성

단어뜻'摆烂'과의 관계
躺平 (탕핑) 드러눕기, 최소한으로 살기 '摆烂'의 전 단계, 소극적 저항
内卷 (네이쥔) 내적 경쟁, 과잉 경쟁 '摆烂'의 원인, 경쟁이 심할수록 포기하는 사람 증가
佛系 (불계) 모든 것을 내려놓는 태도, 무관심 '摆烂'과 유사하지만 좀 더 평온함
鸡娃 (치와) 자녀를 닭처럼 몰아붙이며 교육하는 부모 (극한 경쟁) '摆烂'이 이런 경쟁을 거부하는 청년들의 대응

✅ 5. 지젝의 해석과 연결

지젝(Slavoj Žižek)은 이런 현상을 보며 현대 자본주의 체제 안에서 인간이 얼마나 소외되고 절망하는지를 설명합니다.

  • 그는 "摆烂" 같은 현상이 단순한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시스템 자체의 문제를 드러내는 징후라고 봅니다.
  • 하지만 중국의 '摆烂'은 세르비아 청년 시위와는 다르게, 정치적 움직임으로 발전하지 못하고 개인적 차원에 머무르는 점을 비판합니다.
  • 즉, **"체제를 바꿀 에너지로 전환되지 못한 체념"**이라고 분석하죠.

✅ 📊 정리: '摆烂'이 가지는 의미

측면내용
심리적 더 이상 노력하지 않고 자포자기하는 태도
경제적 취업난, 경쟁, 부동산 문제 등으로 인한 절망
사회적 개인적 저항이지만 정치적 움직임으로 발전하지 못한 상태
철학적/비판적 자본주의와 신자유주의의 모순을 드러내는 집단적 무력감 현상

혹시 '摆烂'과 한국 사회 청년 문제 비교, 지젝의 이론적 해석 심화, 유사한 서구적 현상이라고 서로를 공유해본다. 역시 날카로움이 하늘을 찌른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