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dule, Performance, Planning

트럼프 2기 보호무역주의 시나리오 분석 리포트

링마이벨 2025. 3. 28. 06:15
728x90
반응형

트럼프 2기 보호무역주의 시나리오 분석 리포트

1. 개요 트럼프 전 대통령의 재집권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한국 수출산업은 그의 특유의 보호무역주의 및 "미국 우선주의(America First)" 정책 기조로부터 상당한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본 리포트는 트럼프 2기 시나리오 하에서 한국 주요 수출 산업과 대표 기업들의 리스크 요인 및 대응 전략을 분석합니다.

 

2. 트럼프 2기 주요 정책 리스크 요인

  • 관세 무기화 재개 가능성: 자동차, 철강 등 국가 안보를 명분으로 한 관세 부과 확대.
  • IRA/CHIPS 등 보조금 연계 규제 강화: 중국산 원재료 사용 시 보조금 제외.
  • 현지 생산/고용 압박 강화: 미국 내 고용 창출이 정책 판단 기준으로 작용.
  • FTA 재협상 가능성: 무역 적자국으로 한국을 지목할 가능성 존재.

3. 기업별 리스크 및 대응 전략

기업 주요 업종 트럼프 리스크 요인 대응 전략

현대차 자동차 - 美 수출 차량에 25% 관세 가능성- 미국 내 생산 부족 지적 우려 - 美 앨라배마/조지아 공장 생산 확대- 美 전기차 투자 강화 (현대차그룹 13조 투자 계획)
삼성전자 반도체, 전자 - 中 생산거점에 대한 견제- 기술 유출 우려에 따른 규제- IRA 관련 전기차 부품 규제 - 美 텍사스 반도체 공장 증설- 공급망 다변화 및 미국 중심 재편- 친미 성향 공급체인 강조
포스코 철강, 배터리소재 - 철강 쿼터 강화 또는 관세 재도입 우려- 배터리소재 中 의존 문제 - 美 포스코인터·포스코케미칼 현지화- 리튬·니켈 등 북미 원광 확보 강화
에코프로 배터리소재 (양극재) - 中 원재료 의존도 높음- IRA 규정 위반시 美 보조금 제외 가능 - 美 합작사와 북미 내 생산 검토- 中 이외 리튬·니켈 공급선 확대
LG에너지솔루션 배터리 - IRA 및 中 부품 비율 규제 강화- 美 정치 변화에 따라 보조금 축소 가능 - GM, Honda 등과 美 합작공장 가동- 미시간·오하이오 중심 생산 체계 강화
효성 첨단소재 (탄소섬유 등) - 첨단소재 원천기술 견제 가능성- 미국 내 수요 기업 압박 가능 - 미국 전기차·방산 업체와 협력 확대- 북미 소재 시장 점유율 확보 주력
한화 방산, 태양광, 우주 - 미국 우선주의에 따라 현지 생산 압박 강화- 美 정부 조달 우대 조건 강화 가능 - GE, 록히드마틴 등과 전략 제휴- 태양광 모듈 현지 생산 설비 강화- 방산부문 M&A 통한 美 진출 확대

 

4. 정부 및 산업 차원 대응 전략

  • 맞춤형 통상외교 강화: FTA 및 통상 이슈에 대해 전문가 중심 협상팀 운영.
  • WTO 및 다자 협력 채널 활성화: 미국의 일방주의 견제를 위한 국제 협력망 구축.
  • 중국 의존도 완화: 공급망 다변화 및 국내 생산 인센티브 강화.
  • 미국 내 투자 및 고용 확대 유도: 정부 차원에서 세제·금융 지원.

5. 결론 트럼프 2기에는 불확실성이 크고 예측 불가능한 정책 변화가 동반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미국과의 공급망 협력, 현지화 전략, 통상외교 강화를 병행한다면 충분히 대응 가능한 수준의 리스크입니다. 각 기업은 장기적 관점에서 미국 중심의 전략 산업 지형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해야 합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