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생활속 궁금증 ‘아삼육’ 어원은?

링마이벨 2025. 3. 8. 19:59
728x90
반응형

“아삼육”이라는 표현은 한국에서 주로 ‘아주 삼류 같다’는 뜻으로 쓰이며, 부정적인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어원
1. 숫자의 의미 변화
• “아삼육(亞三六)“은 본래 “아(亞, 아래급)” + “삼(三, 3)” + “육(六, 6)“의 조합으로, ‘조금 부족하고 질이 낮다’는 의미로 쓰였다는 설이 있습니다.
• 조선 시대에 하급 관리나 삼류 인물을 가리키는 표현이었다는 주장도 있습니다.

2. 일제강점기 유래설
• 일본어에서 “三六(さんろく, 산로쿠)“이라는 표현이 ‘싸구려, 삼류’라는 뜻으로 쓰였다는 설이 있습니다.
• 이를 한국식으로 변형하면서 “아삼육”이라는 표현이 자리 잡았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3. 속어·비속어에서 발전
• 1960~70년대 이후 한국에서 ‘삼류’, ‘질 낮은’이라는 의미로 사용되면서 속어로 정착했습니다.
• 현재는 “허접한 사람”이나 “수준 낮은 행동”을 비하하는 말로 쓰입니다.

“아삼육”과 어원이나 의미가 비슷한 말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삼류(三流)
• ‘일류(一流) > 이류(二流) > 삼류(三流)’에서 유래한 표현으로, 수준이 낮고 하찮은 것을 의미합니다.
• 예: “그 영화 완전 삼류야.”

2. 삼팔육(三八六)
• ‘삼팔육’도 ‘아삼육’과 비슷한 맥락에서 쓰이는 속어입니다.
• 원래 정확한 의미는 불분명하지만, 삼류(三流)에서 파생된 표현이라는 설이 있습니다.

3. 삼팔(三八) / 삼팔광땡
• ‘삼팔’은 일본어에서 유래한 속어로, 수준 낮고 가벼운 사람을 비하하는 말로 쓰였습니다.
• ‘삼팔광땡’도 비슷한 의미로 사용되며, 주로 허세가 심하거나 가벼운 사람을 뜻합니다.

4. 삼십육계(三十六計) 줄행랑
• ‘삼십육계 줄행랑’이라는 표현에서 줄여 ‘삼십육’이라고도 하는데, 이는 도망치거나 무책임한 태도를 의미할 때 사용됩니다.
• 예: “걔는 책임질 때 되면 삼십육이야.”

5. 날라리
• 원래는 학생들 사이에서 불량하거나 공부를 안 하는 아이들을 가리키는 말이었지만, 지금은 가볍고 신뢰할 수 없는 사람을 뜻하기도 합니다.
• 예: “쟤 완전 날라리야.”

이 외에도 ‘싸구려’, ‘저급한’, ‘천박한’ 등의 뜻을 가진 표현들이 아삼육과 유사한 의미로 쓰일 수 있습니다.

즉, “아삼육”은 한자어와 일본어 표현이 결합되어 변형된 속어로 볼 수 있으며, 지금은 부정적인 뜻을 지닌 관용어로 자리 잡았습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