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자나무(Chaenomeles speciosa)는 장미과에 속하는 낙엽 활엽 관목으로, 주로 중국 원산이며 한국과 일본에서도 널리 재배되고 있습니다. 대개 성장하면 높이 1~2m 정도로 자라고, 끝이 가시로 변하는 특징이 있습니다. 잎은 어긋나게 배열되며, 타원형 또는 긴 타원형으로 길이 48cm, 너비 1.55cm이고 가장자리는 잔 톱니 모양입니다. 꽃은 4~5월에 꽃이 피고 붉은 색의 꽃이 지름 2.53.5cm로 피며, 짧은 가지에 1개 또는 여러 개가 달립니다. 타원형의 열매는 길이 약 510cm로, 9~10월에 노란색으로 익습니다. 모과와 비슷한 향기를 지니며, 과실주를 담그는 데 사용됩니다. 명자나무는 양지 또는 반음지에서 자라며 다양한 토양 조건에서도 적응력이 매우 높습니다. 내한성이 강하여 추운 지역에서도 재배가 가능합니다. 번식은 주로 종자, 분주, 삽목 등의 방법으로 이루어집니다. 명자나무는 이른 봄에 아름다운 꽃을 피우고, 가을에는 향기로운 열매를 맺어 관상수로 인기가 높습니다. 또한, 생울타리로 활용되며, 열매는 과실주를 담그는 데 이용됩니다. 명자나무(Chaenomeles speciosa)의 이름은 중국에서 유래한 한자 '榠樝(명사)'에서 비롯되었습니다. 이 이름은 중국에서 유래한 것으로, 정확한 명명 이유는 명확하지 않습니다. 한편, 명자나무의 열매는 모과와 비슷한 향기를 지니며, 과실주를 담그는 데 사용됩니다.
🔹 榠樝 (병과)
1. 榠 (병)
- 음: 병
- 뜻: 모과나무의 일종을 뜻함.
- 나무 이름으로, 주로 중국에서 자라는 꽃모과나무 (Chaenomeles speciosa)를 가리킴.
- 이 한자는 고유명사나 식물 이름에서 주로 사용됨.
2. 樝 (과)
- 음: 과
- 뜻: 역시 나무 이름, 모과나 모과나무를 뜻함.
- 때때로 떫은 과일, 혹은 약용 열매를 의미하기도 함.
- 일부 문헌에서는 산야에 자생하는 나무로 등장.
3. 중국어 발음 (현대 표준어)
- 榠의 현대 중국어 발음은 míng (병음: míng)이야.
- 그래서 榠樝는 중국어에서 míng zhā로 읽혀.
→ 이건 중국어 음이지 **한자어 음(한자음훈)**이 아냐.
4. **한자어 음(한국 한자음)**에서는:
- 榠의 한국식 독음은 병
- 樝의 한국식 독음은 과
📌 즉, **‘명자(榠樝)’**는 **중국식 발음(míng zhā)**을 따른 것이고, **‘병과(榠樝)’**는 **한국 한자음(병, 과)**을 따른 거라고 써있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