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ulture

공간과 감정이입

by 링마이벨 2022. 8. 29.
반응형

우리는 유달리 공간을 많이 보는 문화권에 속한다. 하기야 어디든 공간이 중요하지 않은 나라가 있으랴! 만은 유달리 우리는 왕조의 흥망성쇄를 위해 아니면 그러한 가능성을 위해 유명한 지관을 도시로 말하면 공간과 풍수지리를 보고 삶은 그러하고 죽어서도 어디에 묻혀야 할지를 전문가를 통해 햇빛과 일조량 배수를 생각해 정하곤 했던 것 같다. 유달리 공간에 대한 중요성을 일찌기 몇천년전부터 아주 중요하게 여겼던 것 같다. 절이ㅣ 탄압을 받으면서 들어갈때 그 대중적인 장소는 서원들이 자리를 잡았고 불당이 산으로 들어가면서 그리고 조선이 개국하면서 피바람을 일으킬때 약간의 민간신앙을 허용하면서 절 주변에 큰 산에는 민간신앙들이 뿌리를 잡고 자리잡게 돼었던 것이다. 사찰이 양반들의 해우소 역할을 한 반면 계급이 존재하던 사회에 누구나 편안하게 때로는 도움이 될 수 있고 근접성이 뛰어난 민간신앙의 장소들이 계곡및 바위 및 쉽게 찾을 수 없는 장소 곳곳에 뿌리를 내린다. 이러한 공간에서 가끔은 푸염으로 이룰 수 없는 꿈과 그 허망함을 풀던 장소가 여러가지 감정의 장소가 돼었던 것이다. 외침도 많고 사회적 불안함은 그대로 사회에 투영돼고 그런 불안감들이 장소나 운세 현실의 답답함을 미래 지향적으로 전환 변화를 꾀하기 된 것 같다. 이러한 시공간의 생명력은 metaverse로 다시금 돌아오는 것이다. 유달리 상상력과 현실극복의지가 결합돼어 가상현실에 대한 story-telling에 있어서 어떤문화 어떤 민족 보다도 강점이 있을것으로 예상된다. 시공간에 대한 창의력과 네트워크 인프라가 결합해 하나의 새로운 문화형태로 자리잡을 것이다.
거기에 우리의 story-telling은 이미 한류문화의 콘텐츠나 게임 엔터테인먼트에서 이미 한차례 검증돼었고 그러한 가상현실이 풍부한 컨텐츠와 결합해 한층 커다란 파급력을 가질 것으로 보인다. 5G의 빠른 속도와 기술력으로 한 층더 날개를 달을 것으로 보인다. 문학이 수천년의 생명력을 가지고 입에서 입으로 전달된것에 현실에 대한 인식은 시간을 거슬러 인식으로 엄청난 대중성을 확보하게 될것이다.

반응형

댓글